본문 바로가기

미국간호사151

캘리포니아 주 Safe Staffing 법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캘리포니아 간호사들에게 중요한 법인 안전한 인원 배치법(Safe Staffing Law)/간호사-환자 비율 고정 법(Nurse-to-Patient Ratio Law)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이 법이 생긴 배경, 현재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실제 현장에서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살펴볼게요.이 법은 어떻게 생겼을까요?캘리포니아는 2004년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간호사-환자 비율을 법으로 정한 주가 되었어요. 이 법은 California Assembly Bill 394 (AB394)로도 잘 알려져 있는데요, 환자 안전을 높이고 간호사의 업무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답니다. 법안이 만들어지기 전인 1990년대 후반, 병원 내 간호사 부족과 과중한 업무로 인해 환.. 2024. 12. 5.
미국 병원 취업 & 영주권 스폰서! 에이전시 8곳 총정리 🌟 안녕하세요, 여러분! 😊 미국 간호사 인력 부족 문제는 꽤 오래전부터 이슈였어요. 특히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인해 숙련된 간호사에 대한 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죠. 그래서 미국 정부는 외국 간호사들이 미국에서 일할 수 있도록 EB-3 비자라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에요. EB-3 비자는 미국 내 고용주가 외국인 노동자를 스폰서해주는 프로그램이에요. 간호사의 경우, 고용주가 미국 병원 또는 간호사 에이전시가 될 수 있답니다. 이 비자를 통해 영주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미국에서 안정적으로 일하고, 정착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거죠! 미국 병원에 취업하면서 영주권(EB-3 비자)까지 스폰서를 받을 수 있는 기회, 생각만 해도 설레지 않으신가요? 하지만 처음에는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수 있어요.. 2024. 12. 4.
꿀잠과 우리의 심장 우리가 잠드는 순간은 단순히 하루를 마무리하는 시간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스스로를 회복하고 재충전하는 시간입니다. 특히 심장은 잠을 자는 동안 휴식을 통해 낮 동안 쌓인 부담을 덜어냅니다. 하지만 현대인의 수면 부족은 이 자연스러운 과정을 방해하며, 때로는 심각한 심혈관 질환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제가 일하는 Progressive Care Unit (PCU)에서는 심혈관 질환 환자들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심박수가 100을 넘는 심방세동(A-fib RVR) 환자부터, 가슴 통증을 호소하며 입원한 NSTEMI/STEMI 환자까지 다양합니다. 이들 중에는 30~50대라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심장마비로 입원한 환자들도 적지 않게 있습니다. 이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 꼭 물어보는 질문이 있습니다.최근에 심한 .. 2024. 12. 4.
환자를 대하는 태도, 그리고 신뢰의 시작 병동에서의 하루는 늘 환자들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인수인계 시간, 동료 간호사가 건네는 환자에 대한 첫 인상이 나의 마음을 좌우할 때가 많다. "지시를 잘 따르지 않는 환자예요," "약물을 요구하려고 온 것 같아요." 이런 말들이 한두 마디 오고 가면, 어느새 내 머릿속에서는 환자가 "반항적인 문제아" 혹은 "마약 중독자" 같은 이미지로 각인된다. 그런 선입견을 안고 환자 방에 들어가면 어떨까? 놀랍게도, 대부분의 경우 환자는 내가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평범하고 괜찮은 사람이었다. 이를테면, 소개팅 전 카톡 대화와 사진을 보고 잔뜩 기대했다가 실망하거나, 반대로 큰 기대 없이 만났다가 호감을 느끼게 되는 그런 경험과도 비슷할까? 물론, 간호사와 환자의 관계를 소개팅처럼 단순화할 수는 없다. 하지만 그.. 2024. 12. 3.
간호사를 위한 미국 병원 가이드: 국공립, 영리, 비영리 장단점 비교 안녕하세요, 간호사 여러분! 오늘은 미국에서 일하면서 꼭 알아야 할 국공립 병원, 영리 병원, 비영리 병원의 차이점을 소개해 드릴게요. 병원 유형에 따라 근무 환경, 복지, 그리고 간호사로서 느끼는 장단점이 확연히 다르답니다.국공립 병원 (Public Hospitals)국공립 병원은 주, 시 또는 연방 정부에서 운영하는 병원이에요. 주로 Medicaid, Medicare, 그리고 저소득층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공의료 서비스의 중심지입니다.장점안정적인 고용:국공립 병원은 정부 지원을 받기 때문에 경제 불황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에요.포괄적인 환자 케어:다양한 사회적 배경의 환자를 만나면서 보람을 느낄 수 있어요. 특히 복잡한 케이스를 다루는 데에 도전 정신을 얻는 분들에게 추천!정부 혜택:연금 제도, 건.. 2024. 12. 2.
2024년 간호사와 의료 분야 관련 가장 주목받은 미국 뉴스 Top 5 2024년은 간호사와 의료계에서 여러 중요한 변화와 도전 과제를 기록한 해였습니다. 아래는 올해 가장 주목받은 5가지 뉴스와 그 의미를 분석한 내용입니다.간호사 노동환경 개선 요구와 파업 증가2024년에도 간호사들이 노동환경 개선과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전국적으로 파업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캘리포니아, 뉴욕 등 주요 도시에서 발생한 파업은 인력 부족과 간호사의 번아웃 문제를 더욱 부각시켰습니다. 일부 병원은 근로 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간호사와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으나, 의료기관의 재정적 압박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관련 기사: Healthcare Dive​, McKinsey & Company 의료 분야의 AI 활용 확대AI 기술이 의료계에 빠르게 도입되며,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 향.. 2024. 12. 1.
직장인들이 꼭 알아야 할 Pension과 401(k)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직장인들이 관심을 가지는 퇴직 연금 시스템 중에서 **Pension(연금)**과 **401(k)**의 차이점에 대해 쉽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미국에서 은퇴 후 경제적 안정을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이 두 가지 제도는 각각 장단점이 있고, 개인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옵션이 다릅니다. 어떤 것이 나에게 맞는지 이해하기 위해, 이 두 제도가 무엇인지부터 차근차근 살펴볼게요. 😊Pension: 회사가 책임지는 "전통적 연금"Pension은 과거 미국 직장에서 가장 흔했던 퇴직연금 제도입니다. 요즘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지만, 여전히 공무원이나 대기업에서 제공하기도 하죠. Pension의 핵심은 **고용주(회사)**가 주도적으로 관리하고, 직원이 은퇴 후 일정 금액을 평생 받을 수.. 2024. 11. 30.
환자 돌봄부터 자원 관리까지: Case Manager와 Utilization Manager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간호사로서 새로운 커리어를 고민 중이거나, 병원 안/밖에서 사무직으로 간호사로서의 능력을 활용할 방법을 찾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어요. 바로 Case Manager와 Utilization Manager라는 두 가지 직업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이 직업들은 간호사의 경험과 전문 지식을 활용하면서도 환자와 병원 양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Case Manager란 무엇인가요?Case Manager는 환자의 전반적인 치료 과정을 관리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합니다. 환자가 병원에 입원했을 때부터 퇴원 후의 삶까지, 필요한 자원을 연결해 주고 문제를 해결해 주는 '플랜 설계자'라고 할 수 있어요.Case Manager의 주요 업무환자 상태 평가환자의 건강 상.. 2024. 11. 29.
마취 간호사로의 여정: CRNA 자격, 과정, 연봉 완전 분석 Certified Registered Nurse Anesthetist (CRNA)는 마취 전문 간호사로, 환자의 마취 관리와 통증 조절을 담당하는 고급 실무 간호사입니다. CRNA는 수술, 출산, 진단적 및 치료적 절차 중 환자에게 마취를 제공하며, 심지어 통증 관리 클리닉에서도 일할 수 있습니다.CRNA가 되기 위한 자격 요건CRNA가 되려면 다음의 단계가 필요합니다:간호사 면허 취득 (RN)간호학 학사(BSN) 혹은 간호학과 동등 자격을 소지해야 합니다.NCLEX-RN 시험 합격 후 RN 면허 취득.중환자실 간호사 경력최소 1년 이상의 중환자실(ICU) 경력이 필수입니다.일반적으로 CRNA 프로그램 지원자들은 2~3년의 ICU 경력을 보유합니다. CRNA 대학원 프로그램 입학대학원(DNP 또는 DNA.. 2024. 1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