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간호사/Clinical Knowledge

🌡️ 산-염기 불균형 쉽게 이해하기: Acidosis & Alkalosis 임상 적용편

by 김프로RN 2025. 5. 6.
반응형

간호대학에서 배운 Acidosis(산증)와 Alkalosis(염기증), 실제 환자에게 어떻게 나타날까요? 오늘은 간호사로 일하면서 가장 자주 접하는 질병들을 중심으로, 산-염기 불균형이 어떻게 나타나고 어떤 대처가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 산-염기 불균형의 기본 개념

유형원인 관련 기관  지표 질병/증상
Respiratory Acidosis 폐 (호흡기) ↑ PCO₂ COPD, 약물로 인한 호흡억제
Respiratory Alkalosis 폐 (호흡기) ↓ PCO₂ 과호흡, 공황장애
Metabolic Acidosis 신장/대사 ↓ HCO₃ 만성 신부전, 당뇨성 케톤산증
Metabolic Alkalosis 신장/대사 ↑ HCO₃ 구토, 이뇨제 사용
 
 

😷 COPD 환자와 Respiratory Acidosis

🔍 임상 상황

COPD(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은 이산화탄소(CO₂)를 효과적으로 배출하지 못해 CO₂가 체내에 축적됩니다. 이로 인해 **Respiratory Acidosis(호흡성 산증)**가 발생하죠.

📈 ABG (동맥혈가스분석) 소견

  • pH: 정상 또는 약간 낮음
  • PCO₂: 높음 (CO₂ 축적)
  • HCO₃: 높음 (신장의 보상 작용)

🧩 왜 pH가 정상일 수도 있나요?

신장은 만성적으로 높아진 CO₂를 보상하기 위해 HCO₃를 증가시켜 산도를 조절합니다. 이를 compensated respiratory acidosis라고 부릅니다.

🚨 급성 악화 시 (COPD Exacerbation, 예: 폐렴 동반 입원)

  • pH: 낮음 (보상 실패)
  • PCO₂: 더 높음
  • HCO₃: 여전히 높음 (이전 보상 흔적)

👉 즉, **만성 호흡성 산증 + 급성 악화(acute on chronic)**의 모습입니다. 이런 경우 환자는 종종 산소포화도 감소와 의식 변화가 동반되며, BiPAP이나 기관삽관(Intubation)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공황발작으로 응급실 내원한 환자 - Respiratory Alkalosis

🔍 임상 상황

불안, 공황발작, 패닉 상태인 환자가 빠르게 숨을 쉬며 과호흡할 경우, CO₂가 과다하게 배출됩니다.

📈 ABG 소견

  • pH: 상승
  • PCO₂: 감소
  • HCO₃: 정상 또는 약간 낮음

👉 **Respiratory Alkalosis (호흡성 알칼리증)**으로, 일시적인 경우가 많아 종이봉투 호흡 등으로 자연 회복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DKA(당뇨성 케톤산증) 환자 - Metabolic Acidosis

🔍 임상 상황

Type 1 당뇨 환자가 인슐린을 제때 투여하지 않으면, 케톤체가 축적되어 산증이 발생합니다.

📈 ABG 소견

  • pH: 낮음
  • PCO₂: 감소 (보상성 과호흡)
  • HCO₃: 낮음

👉 이 경우에는 **Kussmaul 호흡(깊고 빠른 호흡)**이 관찰되며, 환자는 탈수, 복통, 의식 저하 증상을 보입니다. 치료는 수액 + 인슐린 + 전해질 보충입니다.

 

 

🤢 구토가 심한 환자 - Metabolic Alkalosis

🔍 임상 상황

심한 구토나 위장관 흡인(NG suction)을 오래 한 환자에서는 **산(HCl)**이 지속적으로 손실되면서 알칼리증이 발생합니다.

📈 ABG 소견

  • pH: 상승
  • PCO₂: 상승 (호흡을 늦춰 보상)
  • HCO₃: 상승

👉 치료는 **원인 교정(구토 멈추기, 전해질 보충)**이 우선입니다.

 

 

💡 간호 포인트 요약

상황 간호 포인트
COPD ABG 모니터링, 산소 과다 투여 주의, BiPAP 사용 가능
공황/과호흡 안심시키기, 천천히 호흡 유도
DKA 수액, 인슐린, 전해질 관찰, 혈당 모니터링
구토 전해질, 수액, 위장관 상태 확인

🧠 마무리 정리

  • ABG는 환자의 상태를 수치로 보여주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 pH, CO₂, HCO₃의 조합을 통해 불균형의 유형과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질병 상태를 해석하고 간호중재에 연결시키는 능력이 숙련된 간호사로 성장하는 핵심이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