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혁신적인 Healthcare Technologies

AICD와 CRT-D의 차이

by 김프로RN 2025. 5. 4.
반응형

현대 심장 질환 치료에서 기술의 발전은 환자의 생명을 연장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심장 장치인 **AICD(삽입형 자동 제세동기)**와 **CRT-D(심장 재동기화 치료 제세동기)**는 심정지(Heart Attack)나 심부전(Heart Failure)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두 장치는 기능이 비슷해 보이지만 목적과 적용 대상, 작동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AICD와 CRT-D의 정의, 기능, 적용 환자군, 삽입 방식 등의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AICD란?

**AICD(Automatic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는 우리말로 삽입형 자동 제세동기라고 하며, 심장에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심실세동(VF)**이나 심실빈맥(VT)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 충격으로 교정하는 장치입니다.

주요 기능

  • 심박수 감지 및 분석: 심장이 위험한 리듬으로 변할 경우 즉각 감지
  • 전기 충격(디플리브릴레이션): 심실세동이나 심실빈맥 시 강한 전기 자극으로 정상 리듬 회복
  • 심박조율기(Pacemaker) 기능 포함: 저심박(서맥) 시 일정한 심박 유지

주요 대상

  • 심정지 경험자
  • 심장 기능 저하로 인한 부정맥 고위험 환자
  • 유전적 심장 질환(롱QT증후군, 비후성 심근병증 등)

 

CRT-D란?

**CRT-D(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with Defibrillator)**는 심장 재동기화 치료 기능이 포함된 삽입형 제세동기입니다. CRT-D는 AICD의 모든 기능을 포함하면서, 좌우 심실의 수축 타이밍을 맞춰주는 기능이 추가된 장치입니다. 이는 특히 심부전 환자에게 효과적입니다.

주요 기능

  • 심장 재동기화 치료(CRT): 심실 사이의 수축 불일치를 전기 자극으로 조율해 펌프 기능 향상
  • 삽입형 제세동기 기능 포함(AICD 기능): 위험한 부정맥 감지 시 전기 충격 제공

주요 대상

  • 좌심실 수축 기능 저하(Ejection Fraction < 35%)
  • 심전도상 QRS 연장(LBBB 포함)
  • 중등도 이상 심부전 증상(NYHA class II-IV)

 

AICD와 CRT-D의 핵심 차이점

항목 AICD CRT-D
기본 기능 생명 위협 부정맥 감지 및 치료 부정맥 치료 + 심실 동기화
대상 환자 심정지 병력자, 부정맥 위험 환자 심부전 환자 중 전기적 비동기화 동반 환자
리드 수 일반적으로 1~2개 일반적으로 3개(우심방, 우심실, 좌심실)
목적 생명 유지 중심 심기능 향상 + 생명 유지
가격 및 시술 복잡도 상대적으로 단순 상대적으로 복잡, 비용도 높음
 

 

삽입과 관리

삽입 방식

  • **둘 다 피부 아래(흉부 상부)**에 장치를 삽입하며, 리드는 혈관을 통해 심장 내부에 위치시킵니다.
  • 시술은 일반적으로 국소 마취 후 1~2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장치 관리

  • 정기적인 장치 체크(보통 3~6개월 간격)
  • 배터리 수명 약 5~7년
  • 자기장 회피(자석, MRI 등), 공항 검색대 통과 시 주의

 

AICD는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예방하기 위한 장치이고, CRT-D는 심부전 환자의 심기능 개선을 위한 심실 동기화 기능을 포함한 장치입니다. 두 장치는 모두 생명을 구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장치가 선택됩니다.

  • AICD: 생명을 위협하는 심실 부정맥을 감지해 전기 충격으로 치료
  • CRT-D: AICD 기능 + 심실 수축을 조율해 심장 펌프 기능 개선
  • CRT-D는 AICD의 고급형으로, 심부전 동반 환자에게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