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간호사

번아웃을 극복하는 힘, 회복탄력성(Self-Care)의 중요성

by 김프로RN 2025. 10. 1.
반응형

최근 제가 새로 옮긴 병원의 오리엔테이션 프로그램에서 뜻깊은 수업을 들었습니다.


주제는 바로 간호사 번아웃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회복탄력성(Resilience) 이었는데요. 단순히 체력을 키우는 차원이 아니라, 자기 관리(Self-Care) 를 통해 스스로를 지키고 회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수업에서 배운 여러 연습법이 실제로 큰 도움이 되었기에, 오늘 이 글을 통해 간호사 분들과 나누고 싶습니다.


왜 간호사에게 회복탄력성이 필요할까?

간호사의 하루는 늘 바쁩니다. 환자와 보호자, 동료와 조직의 요구 사이에서 우리는 신체적·정신적으로 쉽게 지칠 수 있습니다. 특히 간호사 번아웃은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감정적 소진과 무기력으로 이어져 환자 케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죠.

이때 필요한 것이 회복탄력성입니다. 회복탄력성은 단순히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힘’이 아니라, 힘든 순간에도 중심을 잃지 않고 다시 건강하게 회복할 수 있는 힘입니다. 자기 관리(Self-Care)는 그 토대가 됩니다.

 

자기 관리(Self-Care)를 방해하는 네 가지 함정

수업에서는 우리가 자기 관리에서 벗어났을 때 흔히 겪는 네 가지 패턴을 짚어주었습니다.

  • 자기 방임(Self-neglect) : 과도한 업무로 자신을 돌보지 못해 늘 탈진한 상태
  • 자기 관리 과잉(Self-management) : 감정을 억누르고 ‘완벽한 간호사’로 버티다 지쳐버리는 상태
  • 자기 파괴(Self-sabotage) : 미루기, 걱정, 산만함으로 중요한 일을 피하는 상태
  • 자기 보존(Self-preservation) : 부족한 인력·시간·자원에만 몰두하다 최선의 선택을 놓치는 상태

이러한 신호를 자책하지 않고 알아차리는 것이 회복탄력성의 시작입니다.

 

실천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 연습

제가 직접 해본 연습 중 도움이 되었던 방법을 소개합니다.

  • 시간 존중하기
    매일 아침 오늘 꼭 이루고 싶은 일 3가지 적기 → 요청이 들어올 때 내 우선순위와 비교 후 결정
  • 관계 돌보기
    쉬는 시간이나 출퇴근길에 가족·친구와 연락하기 → 가장 소중한 관계를 잃지 않도록
  • 수면 저축하기
    주중 하루는 의도적으로 수면을 늘리기 → 근무 중에도 짧은 휴식 시간을 포함하기
  • 함께하기
    동료와 걷기 회의나 점심 함께하기 → 관계와 건강을 동시에 챙기기

이처럼 작은 습관이 쌓이면, 간호사 번아웃을 예방하고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간호사 번아웃을 예방하는 마음가짐

중요한 것은 “더 강해져야 한다”는 부담이 아닙니다. 회복탄력성은 작은 자기 관리 습관을 통해 스스로를 돌보는 과정입니다. 내가 진정성 있게 환자와 동료를 대할 수 있도록, 먼저 나 자신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참고 자료

 

Ideas about Resilience

Explore TED Talks on Resilience

www.ted.com


👉 간호사로서 번아웃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일지 모르지만, 회복탄력성을 키우는 작은 습관이 결국 환자, 동료, 그리고 나 자신을 지켜주는 힘이 됩니다.

반응형